탈모약

먹는 미녹시딜(Oral Minoxidil) , 미녹시딜 정의 안전성 제대로 알고 먹으시나요?

록k 2021. 11. 14. 23:03
반응형

 

미녹시딜
바르는 미녹시딜과 먹는 미녹시딜

Safety of oral Minoxidil

왼쪽은 바르는 미녹시딜이고 오른쪽은 먹는 미녹시딜입니다.

바르는 미녹시딜은 FDA 승인 탈모치료제

먹는 미녹시딜은 중증 고혈압치료제입니다.

----

먹는 미녹시딜의 부작용을 바르는 미녹시딜로

개발한 것이 탈모치료제입니다.

---

먹는 미녹시딜이 혈압약이다 보니

안전성을 이유로 바르는 약으로 선회했는데

다행히 치료효과가 있어 승인이 되었습니다.

---

그런데 요즘은 먹는 미녹시딜도 많이 처방됩니다.

오프라벨 처방, 즉 원래 승인된 적응증 외에

다른 질병의 치료를 위해 쓰는 걸

오프라벨 처방이라고 합니다.

---

보통 탈모 조합 약에 많이 쓰입니다.

탈모 조합 약이라 함은 보통 아래 3가지입니다.

프로페시아(카피약) + 미녹시딜 정 + 스피로노락톤

여성의 경우 프로페시아가 빠진 것이 조합 약이고요.

---

여하튼 미녹시딜 정을 탈모치료로 먹을 때

어떤 약인지도 모르고 먹는 경우가 태반입니다.

의사도 약사도 제대로 설명해주는 경우가 드물죠.

---

오늘은 먹는 미녹시딜의 탈모치료제로서의

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연구결과 중심으로

한번 알아보겠습니다.

---

연구 1

https://www.jaad.org/article/S0190-9622(19) 30685-1/fulltext#%20

2019년 스페인에서 실험한 내용입니다.

임상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.

- 실험대상 : 20~55세의 남성 탈모 환자 41명

- 복용량 : 2.5mg(10명), 5mg(31명)

- 복용기간 : 24 week

- 실험 결과 :

41명 중 37명(90.2%)에서 발모 및 탈모방지 효과를 보임.

11명은 큰 발전, 4명은 탈모 안정화되었으며

탈모가 악화된 사람은 없었습니다.

41명 중 25명은 다른 치료와 병행하였으며

(피나스테리드, 두타스테리드, 바르는 미녹시딜 등)

16명은 온리 미녹시딜만 복용했는데

16명 모두 의미 있는 효과를 얻었고 6명에게서

높은 결과를 얻었습니다. 

- 부작용 :

41명 중 12명이 부작용을 겪었으며

다모증 10명, 하지부종 2명, 쉐딩 1명 등으로

심한 부작용(Adverse effects)은 없었으며 단 1명이

요흔성 부종으로 치료를 중간에 중단하였습니다.

부작용 발생은 2명을 제외하고는 5mg 용량을

복용한 군에서 생겼습니다.

 

 

연구 2

https://adisjournals.figshare.com/articles/media/Efficacy_and_Safety_of_Oral_Minoxidil_5_Mg_Once_Daily_in_The_Treatment_Of_Male_Patients_With_Androgenetic_Alopecia_An_Open-Label_And_Global_Photographic_Assessment/12937661

 2020년 태국에서 실험한 내용입니다.

판차프라팁 교수(Dr. Ratchathorn Panchaprateep)

- 실험대상 : 30명 남성 탈모 환자

- 복용량 : minoxidil 5mg

- 복용기간 : 24 weeks

- 실험 결과 :

전체적으로 19.23% 모발 증가,

모든 환자가 효과를 봤음

그중 43%는 괄목할만한 효과

특히 정수리 부분에 좋은 효과

- 부작용 :

93% 다모증

10%가 요흔성 부종

건강한 성인에게는 적용할만한

탈모치료법이라는 결론.

연구 3

https://pubmed.ncbi.nlm.nih.gov/32622136/

2020년까지 경구 미녹시딜을 탈모치료제로

사용한 17가지 연구를 리뷰한 내용입니다.

총 634명이 대상이었으며

- 여성 탈모 환자 148명 대상 1mg 적용 시

약 80%의 환자가 임상적으로 개선되었으며

이 중 15%는 괄목한만한 개선 효과를 보였습니다.

- 남성 탈모 환자의 경우 2.5mg , 5mg을 주로

사용한 연구가 주였으며 약 40%가 상당한 수준의

개선 효과를 보았으며 정수리 쪽에 좋은 효과가

나타났다고 합니다.

- 부작용의 경우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지만

용량이 높아질수록(Minoxidil 5mg) 다모증이

절반이 살짝 넘는 비율로 나타났다고 합니다.

쉐딩 역시 있었으며 대부분 한 달 이내에

정상 범주로 돌아왔다고 합니다.

용량 남성 여성 다모증 하지부종 저혈압 심전도
0.25mg 25 106 9 1 3 0
0.45mg 33 31 8 2 5 0
0.5mg 0 15 4 0 0 0
1mg 0 220 46 3 1 2
1.25mg 33 17 8 1 1 0
2.5mg 10 15 13 1 0 0
5mg 66 0 36 5 0 3
합계 167 404 117 13 10 5

표 출처 : 뉴헤어 대머리 블로그

연구 4

2021년 미국 피부과 학회지에 발표된 연구입니다.

Safety of low-dose oral minoxidil for hair-loss

a multicenter study of 1404 patients.

"1404명 대상 경구 미녹시딜 안전성 연구"

용량을 바꿔가며 부작용 여부를 확인한 결과

- 다모증 15.1%

- 어지러움 1.7%

- 기타 부종, 빈맥 순서

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으며,

부작용 발생 시점도 24시간 이내에 빈맥

일주일까지 어지러움이 흔했으며

이후 20일까지는 두통, 부종, 다모증 등의

부작용이 발생하는 시기를 보였습니다.

종합 시 약 80%가 부작용 없이

경구 미녹시딜을 복용하였으며

약 19%는 용량을 조절한 뒤 문제없이

치료를 지속했습니다.

1.7%의 탈모 환자만 경구 미녹시딜을

중단했다고 합니다.


실험 내용들을 봤을 때

남자의 경우 2.5mg까지는 탈모치료에도

크게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.

여자의 경우 효과와 부작용이 더 높아

1.25mg 정도의 용량이 적정해 보입니다.

 

다만 이 내용들이 아쉬운 건

실험이 끝나고 단약 한 이후에도 부작용이

없었는가입니다. 예를 들어 약을 끊고 나서도

혈압이 정상수치를 유지한다던지..

뭐 이런 아쉬움은 있습니다만..

 

저용량 미녹시딜은 바르는 미녹시딜이 효과가

없을 경우 대체방안으로서도 가능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.

 

* 본 내용은 개인적 의견이므로 참고만 하시길 바라며

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결정하시길 바랍니다.

 

반응형